
[데이터베이스] 간편한 로컬 DB, H2 Database not found 에러
·
데이터베이스 메모
스프링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테스트용 로컬 DB로 H2(Server방식)를 이용한다. 사용하는 이유는 설치와 구성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간단하게 환경 구성을 소개 해보자면,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고, 스크립트를 이용해 콘솔을 실행하면 된다. 처음 DB를 생성할 때만 위와 같이 URL을 지정하면 되고, URL에 지정한 위치 이미지에선 루트 디렉토리에 test.mv.db 형태로 로컬 파일이 생성된다.H2는 해당 파일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온다. 이후에는 URL에 tcp와 localhost를 추가하여 H2 서버에 접속하면 된다. 하지만 자바를 기반으로 구현돼서 그런지 자바 특유의 딱딱한 UI와 잡에러가 많이 일어나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Database not found 에러한동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