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메모

리눅스 서버 인스턴스 디스크 마운트

csb0710 2024. 8. 17. 02:00

디스크 파티션 설정

💡 파티션이 없는 디스크에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반드시 파티션이 존재 해야 함

💡 모든 명령어는 root 권한을 필요로 함

 

  • 디스크 목록: 마운트르 원하는 디스크 연결 및 이름 확인
$ fdisk -l

 

  • 디스크 파티션 설정
$ fdisk /dev/sdb1
Welcome to fdisk (util-linux 2.23.2).
Changes will remain in memory only, until you decide to write them.
Be careful before using the write command.
Command (m for help):

 

  • 파디션 설정 명령어
m: 도움말을 표시
p: 현재 파티션 테이블을 표시
n: 새 파티션을 생성
d: 기존 파티션을 삭제
t: 파티션의 유형을 변경
a: 부팅 플래그를 설정하거나 해제
w: 변경 사항을 디스크에 기록하고 종료
q: 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x: 전문가 모드를 사용하여 고급 기능에 접근

 

  • 새 파티션 생성
Command (m for help): n
Partition type:
	p  primary (0 primary, 0 extended, 4 free)
	e  extended
Select (default p): p
Partition number (1-4, default 1): 1        // 생성할 파티션 개수

... 이후 파티션 시작 섹터와 마지막 섹터 설정이 나오는데 1개로 설정했기 때문에 엔터 두 번 입력

 

  • 생성 내용 확인 및 저장
Command (m for help): p

...

Command (m for help): w

 

 

파일 시스템 설정

  • 파일 시스템
    • ext4: ext3의 후속 버전으로, 대용량 파일과 볼륨을 지원하며, 저널링 기능을 통해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인 파일 시스템으로 가장 널리 사용 → 채택
    • XFS: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강하며, 서버와 같은 고성능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 디스크 파일 시스템 설정
$ mkfs -t ext4 /dev/sdb1



마운트

  • 마운트 대상 디렉토리 생성 후 마운트
$ mkdir /mount_target
$ mount /dev/sdb1 /mount_target

 

  • 결과 확인
$ df -f      // 마운트한 디스크 확인


영구 마운트가 필요한 경우

  • 영구 마운트를 위해 파일 시스템과 마운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fstab을 수정
$ vi /etc/fstab

|디스크 이름|마운트 대상 디렉토리|파일시스템|마운트 옵션|Dump|파일 시스템 복구 우선순위|의 순서로 입력 후 저장
ex) /dev/sdb1  /mount_target  ext4  default  1  1

 


트러블 슈팅

마운트 된 디렉토리에서 수정 오류 해결 방법 3가지

  • 디렉토리 생성 시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

1. 현재 디렉토리 권한 확인

 

ls -ld .

 

1-1. 디렉토리 권한 수정

현재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이 없는 경우,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권한을 수정

sudo chmod +w .

 

 

2. 디렉토리 소유권 확인 및 수정

ch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수정

 

sudo chown user:user_group .

 

 

3. 파일 시스템 확인

파일 시스템 읽기 전용 모드일 경우 해제

  • 파일 시스템 상태 확인:
mount | grep 'on / '

 

 

 *ro가 포함되어 있다면 읽기 전용 모드

 

  • 읽기 전용 모드 해제:
sudo mount -o remount,r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