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Cloud Platform으로 서버 생성하기

2023. 6. 23. 20:11·클라우드 메모

1. https://console.ncloud.com/dashboard 에 접속 후 서버 생성


 

2. 아래와 같은 설정으로 생성


 

3. 서버 이름을 정한다


 

4. 인증키 생성


root 비밀 번호 확인에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인증키를 다운로드

 

5. 보유 중인 ACG 사용


 

6. 포트 포워딩 설정 (외부 접근 포트 설정)


포트는 1024 ~ 65534 중에 하나를 선택

 

7. 공인 IP 생성 (웹 배포 후 해당 웹에 접속할 때 사용)


 

 

8. ACG 설정


ACG(Access Control Group)은 일종의 방화벽 역할을 한다

  • 접근 소스
    • 0.0.0.0으로 설정하면 접근하는 모든 IP 허용
    • mylp를 이용하여 자신의 IP만 가능하도록 설정 가능
  • 허용 포트
    • 22 : ssh 통신의 기본 포트 (기본 설정 되어있음)
    • 3306 : MariaDB의 포트
    • 80 : HTTP 기본 포트

 

9. root 비밀번호 확인 (관리자 비밀 번호 확인)


인증키 생성 당시 다운로드한 .pem 파일 사용

비밀번호 확인 (이후 재설정 가능)

 

10. 터미널에서 서버 생성 확인


NCP에서 접속용 공인 IP를 확인

 

(1) 터미널에서 ssh를 이용하여 서버 실행

$ ssh root@[접속용 공인 IP] -p 포트번호

 

(2) 비밀번호 입력

 

(3) passwd를 입력 후 원하는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하여 변경

'클라우드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티오] Envoy Proxy와의 Stream이 끊겼을 때 (미완)  (0) 2024.11.14
[이스티오] Istio Envoy Proxy의 로그 및 매트릭 가져오기 2  (1) 2024.11.13
[이스티오] Istio Envoy Proxy의 로그 및 매트릭 가져오기  (0) 2024.11.12
PaaS vs Serverless  (0) 2024.09.05
리눅스 서버 인스턴스 디스크 마운트  (0) 2024.08.17
'클라우드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스티오] Istio Envoy Proxy의 로그 및 매트릭 가져오기 2
  • [이스티오] Istio Envoy Proxy의 로그 및 매트릭 가져오기
  • PaaS vs Serverless
  • 리눅스 서버 인스턴스 디스크 마운트
csb0710
csb0710
  • csb0710
    데모장
    csb0710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1)
      • 스프링부트 메모 (6)
      • 개발 메모 (3)
      • 클라우드 메모 (10)
      • 설치&설정 메모 (2)
      • 알고리즘 메모 (18)
      • 인턴 메모 (7)
      • 데이터베이스 메모 (3)
      • 책 메모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티스토리챌린지
    스프링부트
    GitHub
    알고리즘
    백준
    이지퍼블리싱
    .gitmodules
    디비설정
    자동 답변 봇
    서버생성
    오블완
    ELK Stack
    서버배포
    코드트리
    그리디
    코딩테스트
    디비설치
    서버 연결
    코드트리조별과제
    submodule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2
csb0710
Naver Cloud Platform으로 서버 생성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